JBNU-KIST 산학연융합학과
JBNU-KIST 산학연융합학과는 전북대학교와 한국과학기술원이 ‘학연교수제’와 ‘지역산학연융합사업’의 지속적인 유지 및 산학연 연계프로그램 확대 운영을 위해 2022년 10월에 신설되어 “탄소 복합소재 기술” 및 “이차전지 배터리” 분야의 교육과 연구를 중심으로 지역 및 국내기업에 필요한 신기술을 개발하고 전문 인재를 양성하고 있습니다.
에너지소재/탄소섬유소재/복합소재 분야 석·박사 고급인력 양성을 목표로 대학 전임교원뿐만 아니라 연구소 학연교수, 기업 전문가까지 객원교수로 강의에 참여하여 기업 수요중심 교육과정을 운영하여 차별화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대학원생에게 전북대학교에서는 등록금 전액지원과 한국과학기술원 전북분원에서는 KIST 파견근무를 통해 연수장려금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2024년도에는 1학기에 신입생 6명 입학 예정으로 2023년도 2학기 재학생 4명 포함 총 10명이 키스트 파견근무 예정입니다.. 2024년도 1학기에 키스트 학연교수 강의 교과목 2개 이상 개설 및 2024년 2학기에 참여기업의 수요과목 개발 및 기업체 연구원인 객원교수 강의개설을 통해 기업 수요중심 교과과정을 운영할 계획입니다.. 또한, 2024년 1월 중으로 탄소나노소재 및 이차전지분야 단기 교육프로그램 각 1건씩 총 2건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친환경 첨단 모빌리티 소재 부품 전문인력 양성 공동 추진
지역 혁신산업대학원 추진 “ KIST - 전북대 산학연 융합학과 개설 및 공동 학위과정 운영"
- 산학연 융합학과 신설 및 공동 학위과정
- 해당 분야 석박사 전문인력 양성, 실무형 산학연 공동프로젝트 추진
- 특화산업 수요 중심 교육과정 운영
- 특화산업(에너지 소재 부품 분야) 수요자 중심 전공 교과목 운영
- 산학연 융합 R&D 공동과제 활용 취업연계
- 전북 탄소복합재, 2차전지 관련 기업 공동과제 참여 및 취업 연계
탄소복합소재 분야 융합연구를 통한 = 신기술 개발 및 성과확산 추진
- ▸ 탄소섬유 제조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복합섬유 응용제품 개발
- ▸ 초고온 환경용 복합소재 핵심 원천소재 및 부품 기술 개발
- ▸ |차세대 이차전지 음극재 개발 및
탄소복합 음극재 평가 - ▸ |차세대 이차전지 소재 전기화학적 특성 분석 및 구조/ 화학적 변화와 상관관계 연구
- KIST-전북대
융합형 공동연구 - 기업 참여 R&D 확대
- 지역내 협력기관 참여
사업화 촉진
기술이전 및 기술사업화 지원 등 지역특화산업으로 육성
- 기술이전/창업 Fast-Track추진
- | 주관기관 선행연구결과를 포함해 분석 및 특화분야 수요기업 니즈 매칭 수행하여 사업 초기에도 성과 달성 추진 지역 맞춤형 종합 프로그램 운영
- | J-유레카, J-BP 운영 및 지원 통한 대형성과 창출 추진
선행연구결과물 분석

기업 기술 수요 탁색 및 매칭

특허 포트폴리오 구축
- 양방향 원천기술 발굴 연계
- 기술이전 사업화 지원
- 연구소 기업 가치평가
- 특화 성장 지원
- 대학 기술경영촉진(TMC)
- 신기술 창업 활성화
기술 경영 전문가 자문